-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티스토리 사이트맵 등록방법정보 2017. 10. 17. 10:43반응형
우리가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처음 개설한 이후, 제일 고민하는 것이 바로 NAVER나 DAUM, Google과 같은 포털 검색엔진에서 내 블로그가 제대로 노출되고 있는지 여부일 것입니다.
물론, 제일 중요한 것은 꾸준히 양질의 포스팅을 작성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요.
웹표준 등에 따라 최적화 한 후, 열심히 글은 작성하고 있지만 일정 기간 이후에도 검색엔진에서 방문하지 않는다면, 직접 포털에서 제공하는 웹마스터도구를 이용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구글,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인데 특히,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중이라면 이 두 곳은 꼭 등록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DAUM에서는 별도로 TISTROY BLOG를 등록해 주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TISTORY의 경우 NAVER 입장에서 보면 외부 사이트이기 때문에 블로그를 검색엔진에 등록해주는 행위로써, 방문자가 늘어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단, 등록 행위 자체가 상위노출이나 검색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은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 사이트맵이 제출 되지 않은 상태
위 표는 제가 2차 도메인으로 운영중인 coinlink.kr 티스토리 블로그가 NAVER에서 사이트맵이 제출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된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SITEMAP을 파일로 생성을 하셔야 합니다. 아래 순서대로 따라하시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 SITEMAP 만드는 방법
먼저, 체크도메인 사이트맵생성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어서, Site URL 부분에서 본인 BLOG 주소를 적은 다음, Last Modification 부분에서 ◎ Current time 을 선택하고 Frequency-Priority 부분에서 ◎ Always를 선택한 다음, "Create Sitemap"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1차 주소를 그대로 사용중이라면 http://XXXX.tistory.com 이라고 넣으시면 되구요.
sitemap이 생성되는 진행상태를 보실 수 있구요. 포스팅 갯수에서 따라 시간이 다르며 10개 미만인 경우 1분, 100개 정도면 5~10분 정도 소요됩니다.
모두 만들어졌다면 하단에 XML sitemap 부분 우측 "Download"를 클릭하셔서 파일을 본인 Disk에 일단 저장합니다.
▶ 블로그에 비공개로 글을 작성
그 다음 단계로, 본인 블로그에 글을 하나 작성한 후, 다운 받은 sitemap.xml을 첨부해서 저장합니다. 이 때 비공개로 하셔도 됩니다.
이어서, 글 목록에서 본인이 작성한 글을 다시 클릭하면 관리자 편집모드로 들어가기 때문에 인터넷 창을 하나 더 열어서 해당 글을 열어봅니다.
참고로, 비공개로 했지만 로그인 상태에서는 작성된 글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본문 내용중에 xml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버튼으로 클릭한 뒤, 하단 "속성"을 클릭합니다.
위 그림처럼 http://본인 주소/attachment/cfile3.uf~xxxxx.xml이라는 주소를 복사해서, 일단 메모장에 붙여 넣습니다.
▶ 제출 방법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로 이동한 후, 좌측 메뉴 "요청" -> 사이트맵 제출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본인주소 다음 빈 공백에 복사한 attachment/cfile3.u~.xml까지 붙여 넣은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위 화면은 제출 완료되었을 때의 모습입니다.
▶ 정상적으로 제출 된 상태
보시는 것처럼,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검색로봇 수집부분에서도 모두 OK로 통과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위 과정까지 모두 마치셨다면, 이제 열심히 양질의 포스팅을 작성하는 것만 남았습니다. 물론 로봇이 정상적으로 콘텐츠를 잘 수집하고, 색인도 해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