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정보 2017. 10. 26. 00:03반응형
최근 보도된 내용에 따르면, 월 평균 218만원의 평균 소득자를 기준으로 국민연금을 30년 동안 가입해도 월 67만원 밖에 받지 못한다는 실망스러운 뉴스가 나왔었습니다.
만약, 현재 기준으로 최고 상한선인 고소득자로 분류되어 연금을 납부하더라도 20년 가입자는 월 68만원, 30년 가입자는 월 100만원 가량 수령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물론 현재 수급자는 평균 가입기간이 약 17년으로 짧은 편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일반 국민들의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었지만 제 역할을 다 하고 있지 못한다는 것이죠.
이러한 이유는, 명목소득대체율이 초기 70% 수준에서 2017년 기준 45.5%까지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2028년에는 소득대체율이 40% 수준까지 하락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는 연금 수급자 보다 납부하는 경제 인구가 많아, 쌓인 적립금이 많지만 앞으로 갈수록 수급권자가 늘어남에 따라 기금이 줄어들 것임에는 틀림 없는 사실입니다.
실제 저 같은 경우에도 약 20년 정도 가입을 한 상태인데, 공단으로부터 한번씩 오는 가입내역 안내서를 보면, 가입 이력과 총 납부한 보험료, 그리고 향후 받을 수 있는 예상연금월액에 대한 안내가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상치이며, 본인이 만 60세까지 지속적으로 납부 하는지와 급여가 어느 정도 상승하는지에 따라 예상 연금월액이 달라질 수 밖에 없는데요. 일반적으로 소득이 오르면 수령액도 오르고, 소득이 줄거나 납부를 중단하게 되면 수령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오늘은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방법에 대해 정리를 해봤습니다.
내가 납부하고 있는 보험료가 제대로 기록 되고 있는지, 수령액만으로 나중에 노후 준비로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인지 직접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일반적인 소득 기준에 따라 어느 정도의 예상 연금을 받게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 바로 가기 => http://www.nps.or.kr
위 링크를 따라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화면 중앙에 "예상연금간단조회" 메뉴 부분이 있습니다. 이 메뉴는 별도로 로그인 하지 않아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예상 연금 간단 조회 팝업창이 하나 나오는데요.
이 곳에서 월 납입보험료를 입력한 후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월 납입보험료는 직장인의 경우, 본인납부액과 회사납부액을 합한 금액을 적으시면 됩니다.
월 납입보험료로 25만원을 납부한다고 가정했을 때, 20년을 가입하게 되면 51만원, 40년을 가입해야 100만원정도 수령할 수 있다고 나왔습니다.
사실, 연금 수령 나이가 된 후, 적어도 10년 이상 받아야 본인 납부액 대비 플러스라 할 수 있는데요. 이처럼 낸 보험료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으려면, 수급 기간이 당연히 길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본인이 납부한 내역을 근거로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를 시연해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홈페이지 중앙 하단에 위치한 "내연금 알아보기" 메뉴를 통해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그 다음 화면에서 "예상연금 조회" 부분이 있습니다.
이어서, 두 가지 서비스가 나오는데, 좌측은 국민연금 수령액만 알아보는 것이며, 우측은 그 외 개인연금, 퇴직연금, 주택연금 등 모든 연금성 가입상품까지 조회를 하여 수령 금액을 알아볼 수 있는 메뉴입니다.
참고로, 통합 조회는 이용자가 해당 부분에서 동의절차를 거쳐야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어서, 공단에 가입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합니다.
결과는 바로 확인이 되며, 현재가치의 예상연금액과 소득이 상승한다는 가정하에 미래 가치 예상연금액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 본인이 만 60세까지 납부한다는 가정하에 만 65세부터 수령할 수 있다고 나오는데요. 실제 표현된 금액보다 향후에 소득 변동이나 물가 변동에 따라 실제 수령 금액이 차이가 난다는 점은 참고로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사실, 제일 걱정하는 부분이 내가 수급권자가 되었을 때 제대로 탈 수는 있는지, 또 탄다면 어느 정도 금액을 받을 수 있는지 걱정이 되실 텐데요.
최근, 기대수명이 길어지는 만큼, 실제 납부한 보험료 대비 더 많은 금액을 수령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반응형